[JavaScript] JavaScript의 기초

[JavaScript] JavaScript의 기초

자바스크립트의 기초를 알아봅시다.


자바스크립트란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. 자바스크립트는 웹페이지에 생동감을 불어넣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.
자바스크립트로 만든 프로그램을 스크립트라 부릅니다. 스크립트는 웹페이지의 HTML 내부에 작성할 수 있으며 웹페이지를 불러올 때 자동으로 실행됩니다. 이 때 별도의 컴파일러가 필요하지 않으며 위에서 아래의 순서를 갖고 코드를 읽습니다.
자바스크립트는 느슨한 언어로 자료형과 상관없이 오로지 var, let, const를 통해 변수를 선언합니다. 변수명으로 예약어사용이 불가능합니다.



1. 내장 방식



1

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방식에는 내장 방식과 링크 방식이 존재합니다.
먼저 내장 방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. 내장 방식이란 <script> 태그를 사용하여 HTML 문서 내부에 스크립트를 직접 작성하는 방식입니다. CSS와는 달리 자바스크립트는 HTML 문서 내부에 어디에든 작성할 수 있습니다.
내장 방식은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고 특정 페이지에서만 작동하는 기능일 경우 내장 방식을 통해 따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
2. 링크 방식



2

다음으로 링크 방식입니다. 링크 방식은 CSS의 링크 방식과 동일합니다.
앞서 1번에 있던 스크립트를 test.js에 붙여넣은 뒤 <script> 태그 내부의 링크를 위 그림과 같이 작성 후 브라우저에서 살펴본 결과 개발자 도구의 콘솔창에 동일한 결과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링크 방식은 스크립트가 길어질 경우 가독성을 위해 분리해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습니다.

3. 변수 - var



3

먼저 var입니다. var는 위의 그림과 같이 재선언과 재할당이 가능한 자료형입니다.
var의 경우 다른 스크립트와 같이 사용할 경우 변수의 재선언으로 인해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하는 자료형입니다.

4. 변수 - let



4

다음으로 let입니다.
let은 var과는 달리 재선언은 불가능하지만 재할당은 가능한 변수입니다.
위 그림과 같이 hello를 재선언한 결과 콘솔에서 hello가 이미 정의되었다 라는 오류를 출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5. 변수 - const



5

마지막으로 const입니다.
const는 재선언 재할당 모두 불가능한 변수입니다.
위의 그림의 경우 const를 재할당한 결과 constant variable에 할당을 했다는 오류를 출력하고 있습니다. const를 재선언 할 경우 let을 재선언 했을 때와 같은 오류가 출력됩니다.
const의 경우 상수로써 사용되며 변수를 선언할 때 대문자로 사용하는 관습이 있습니다.

6. 숫자형변환



6

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숫자 또는 문자로 사용하고 싶을 때 형변환이 사용됩니다.
var, let, const를 통해 선언된 변수는 그대로 사용할 경우 의도치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때문에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형태의 자료형으로 변환해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.
Prompt로 입력받은 값은 문자로 저장이 되었고 덧셈을 수행했을 때 수가 더해지는게 아닌 글자가 붙어버린 현상이 발생했습니다.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하기 위해 Number()를 사용해 숫자로 형변환을 수행합니다.

7. 문자형변환



7

반대로 숫자를 문자로 형변환 하고자 할 때는 String()과 toString()을 사용합니다.
위 그림의 경우 숫자형인 num을 문자로 형변환 후 더한 결과 1010이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String()의 경우 null 값과 undefined 값을 형변환 해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toString()의 경우 null 값과 undefined 값을 형변환 할 시 문제가 발생합니다.

8. 함수 선언문



8

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표현하는 방법 첫 번째 함수 선언문입니다.
이 방식은 대부분 가장 익숙한 방법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
함수 선언문은 선언된 위치와 상관없이 어디서든 호출할 수 있으며 이를 호이스팅이라 합니다.

9. 함수 표현식



9

두 번째 방법인 함수 표현식입니다.
함수 표현식은 함수 선언문과 달리 코드에 도달할 때 함수가 생성되며 때문에 함수 표현식 이전에 함수를 사용할 경우 오류가 발생합니다.

10. 람다 함수



10

마지막으로 람다 함수입니다.
람다 함수의 경우 가장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람다 함수는 함수 표현식과 마찬가지로 코드에 도달할 때 함수가 생성됩니다.


© 2022. All rights reserved.